참고: Freie Universität Berlin 기준 🙂
2. 시험 및 모듈 완료
모듈 이수 기준은 ‘적극적 참여’와 한국식 수행평가가 주를 이루는 기말고사다.
– 능동적 참여 점수는 학기 중 소액 과제를 여러 번 납부함으로써 달성되나 구체적인 과제의 종류와 개수는 학과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평균 형식은 1-2 페이지 보고서의 세 가지 제출인 것 같습니다.
가끔 특별한 조건 없이 긍정적인 점수를 주는 트레이너들이 있습니다.
– 나는 로직에서 “기말 고사”만 치렀고 나머지 모듈은 기말 고사를 대신하여 사내 작업 제출로 대체합니다.
인문계에는 물론 기말고사가 있는 학과가 있지만 철학에는 시험이 있는 모듈이 거의 없고 그마저도 서술형이라기보다 객관적이었다.
참고로 기말고사(필기시험)는 절대평가입니다.
(독일에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심지어 대학교까지 모두 절대등급입니다.
) 시험이 매우 어려웠다면 합격/불합격 점수를 약간 조정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절대등급입니다.
한국식 경쟁 분위기는 전혀!
!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점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후속 시험이 있습니다.
그 부분이 정말 컬쳐쇼크였고 유학생으로서 신의 한수였습니다.
– 재택근무란?
하우스 작업은 일반적으로 10-15개의 챕터 페이퍼입니다.
보통 학기 종료 후 한두 달 뒤에 재택 아르바이트를 제출하는데, 가끔 기한이 없다고 하는 학과도 있고, 심지어 다음 학기에 수강하는 학과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트레이너와 개별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주제 및 구조(개요, 텍스트 디자인)의 선택은 사전에 강사와 합의해야 합니다.
1, 2학년 기준으로 너무 광범위하거나 기초적인 질문(예: “진실이란 무엇인가”)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강사가 놓친 부분에 대해 답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히려 좁은 주제는 저자에게 더 쉽고 내가 텍스트를 오해하는 것을 덜 보여줍니다.
나는 수업시간에 자주 나오는 개념을 구체적이고 활용하는 주제와 질문을 좋아한다.
형식적인 면에서 한국에 비해 매우 까다롭다.
한국에서 학사 학위 논문을 작성할 때만 바르게 적용되던 인용, 각주 등의 규칙도 논문 수준에서 엄격히 지켜져야 한다.
기말고사보다는 방학 때 집에서 편안하게 글을 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말로 표현하기 쉽지 않은 철학적 내용을 독일어로 쓰는 것은 매우 어렵다.
독일어를 교정할 수 있는 독일인 친구는 필수입니다.
– 철학과에서는 구술 모듈 “구술 역량 철학”이 필요합니다.
이 모듈은 강의가 없는 2개의 세미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바구니에서와 마찬가지로 참석하고 싶은 세미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두 세미나 중 하나를 선택하고 거기에서 구술 시험만 통과하면 모듈이 완료됩니다.
말하기 모듈에 세미나 A와 세미나 B가 포함된 경우 A 또는 B 중 하나의 구술 시험만 치면 됩니다.
단, A세미나와 B세미나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면 포인트를 받아야 한다.
– 모듈이 몇 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든 한 학기에 모듈을 완료할 필요는 없습니다.
강의와 세미나/연습이 결합된 경우. B. Introduction 또는 Logic, 이 세트는 한 학기에 완료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그 외의 경우에는 이번 학기 강의와 다음 학기 세미나를 해당 강의가 속한 모듈로 구분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철학과에서 느낀 점을 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