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나 온라인 쇼핑이 생활화된 요즘은 확실히 이전보다 지폐를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네요. 지폐속의인물초상화를그린사람이누구인지생각해보신적이있나요? 외모가아닌내면의기를표현한우리나라지폐속인물초상화를그린화가가누구인지같이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공감 홈페이지의 원문 기사를 보다
▶의 이종상,’닥터 도그이오(독도 귀어)’한지에 수묵 채색, 37.5×45cm, 1980
당연하게 여겼던 일이 그렇지도 않은 듯 다반사에요. 화폐 사용도 그 중 하나인데 지갑에서 돈을 꺼내는 빈도가 예전 같지 않더군요. “신용카드 결제가 일반화되고, 버스나 지하철, 택시 요금도 현금으로 내지 않습니다” 은행을 비롯한 각종 금융업무가 전산화 되어 지폐 보기가 점점 어려워졌습니다.
심지어는 다양한 종류의 암호화폐와 새로운 개념의 지불 수단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돈의 가치와 사용은 온라인에서 숫자로만 왔다갔다 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노란 봉투에 일엔짜리 동전까지 받아오시던 아버지의 월급날 풍경은 먼 옛날이야기가 되었어요. 요즘 아이들은 명절 때 할머니가 쥐어준 지폐 몇 장에 담긴 추억과 주머니 속에서 짤랑거리는 동전 소리를 못 듣게 됐어요.
그래도 화폐가 갖고 있는 아날로그 감수성은 여전히 무시할 수 없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발행되는 지폐는 그 나라의 고유한 정체성을 나타내고 있어요. 지폐 디자인에는 그 나라를 상징하는 이미지가 충실히 반영되기 때문이죠. 전 세계의 80%가 넘는 국가 지폐에 인물이 등장합니다.
위인들이 주로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의 이종상,’모토(기력 독도(독도)Ⅱ’, 슌지에 수묵, 89×89cm, 1982
오천원권 인물초상화를 모두 그리며 현재 한국에서 발행되는 지폐는 4종으로 오천원, 오천원, 오만원, 오만원.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세종대왕, 신사임당의 얼굴이 각각 그려져 있습니다.
역시 위인이시군요. 그런데 네 사람 모두 카메라가 없는 시대를 살았던 인물. 얼굴 사진이 남아있을 리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아무도 정확한 생김새를 알아볼 수가 없어요. 그래서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그들의 초상화는 어떻게 보면 상상화일 수 밖에 없습니다.
서울 세종로 광화문 광장에 있는 이순신, 세종대왕 동상도 물론 철저한 고증을 거쳤다고 하지만 아이러니라고 할 수밖에 없다.
그러면 1973년에 시행된 국가지정 표준 영정제도의 허실을 새삼 느끼게 되겠습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제작된 표준 영정 1호는 이순신 당대 최고의 동양화가 월전 장우성(19122001)이 그렸습니다.
달 전의 친일 행적은 여전히 논란거리입니다.
아무튼 천원권 지폐에 있는 퇴계 이황 초상화는 현 최초의 이유태(1916~1999)가 그렸으며, 만원권의 세종대왕 초상은 운보 김기창(1913~2001)의 작품입니다.
오천원권과 오만원권에 나오는 율곡 이이와 신사임당을 그린 화가는 같은 사람입니다 서울대 미대 동양화과 교수에서 정년 퇴임한 이정상(1938~)이 그 주인공. 어머니와 아들이 동시에 지폐에 새겨진 것도 세계에서 유일한 사례인데, 이 모자의 초상화를 한 화가가 다 그렸으니까 이 또한 보통이 아닌 경우에요.
일수는 대학 3학년(23세)에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 첫 출품 특선, 1962년 내각수반상, 1963년 문교부장관상을 잇달아 받으면서 일찍부터 화단에서 입지를 굳혔는데. 당대 최고의 화가였던 이당 김은호(1892~1979)로부터 영정기법을 전수받아 율곡 이이 초상을 그린 것은 35세였습니다 이초상은현재한국은행화폐박물관에소장되어있습니다.
일랑은 우리 민족 미술의 근원이 고구려 고분벽화와 조선의 진경산수에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고구려 벽화에 대한 이론 학습과 연구 결과는 ‘원형상( 원형상)’시리즈에서 구현하고 진경 정신에 대한 계승은 ‘현대 진경’로 불리는 ‘독도’연작에서 완성되고 있었습니다.
‘동유화’ 기법으로 제작된 ‘원형상’ 벽화는 서울 남산 국립극장 로비나 서초동 대법원 동서 벽면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동유화’란 동판 위에 돌가루와 유리가루를 물감 삼아 그림을 그리고 동판이 녹을 정도로 열을 가해 완전히 밀착시키는 기법입니다.
변색 없이 영구 보존이 가능합니다.
동유화뿐 아니라 서울 양재동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관에 있는 대형 기록화도 늑대의 작품입니다.
▶이정상, 원형상 9501-평등, 동유화, 401.5669cm, 1995년 대법원장. 여명, 일출, 희망, 설계, 꿈 등을 상징하며 동양 고유의 동쪽을 상징하는 색인 파란색으로 표현되었다.
사실적 묘사 초월하고 독도’기본’표효은일랑을 논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독도에 대한 남다른 애정과 관심입니다.
그는 화가로서는 처음 1977년 직접 독도를 방문했습니다.
‘대동여지도’를 남긴 김정호가 두 발로 조선의 산천을 답사한 것처럼 일랑도 독도를 직접 보고 체험함으로써 ‘현대 진경’정신을 베풀고 싶었습니다.
▶이정상, 원형 9502-정의, 동유화, 401.5669cm, 1995년 대법원장.서쪽을 상징하는 색인 흰색으로 표현돼 정의의 심판을 상징한다.
│대법원 홈페이지
“일주일 예정으로 독도를 찾았다.
화가로서는 내가 처음이란다.
그러나 그런 기록을 세우기 때문에 독도를 한 것은 결코 아니다.
울릉도와 독도가 한국 땅임에는 틀림없지만, 내가 평소부터 그린 내륙의 산하에 맞쥬은세(준세)로 표현이 가능하겠느냐는 화가로서 관심을 실험하기 때문이며 독도가 우리 나라의 영토임을 확인하고 싶어서였다.
그것은 회화적으로 보아 분명히 우리 땅이었다.
나는 며칠 동안 그 외로운 섬에 머물며 수십 장의 그림을 그렸다.
확실한 내륙과 맥이 닿아 있는 우리 땅이라는 뿌듯한 감동을 준세로 확인하면서…”
일랑이에 기고한 독도 탐방기의 일부입니다.
이처럼 일랑은 독도에서 수많은 스케치, 즉 사생을 통해서 외모가 없이 독도의 ‘모토(기력’을 온몸으로 느꼈습니다.
단순하게 응축된 독도의 추상 이미지는 이렇게 탄생한 것입니다.
의 다양한 기사를 만나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