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10:1-13) 시험

사람이 감당치 못할 시험 외에는 너희가 당한 것이 없나니 하나님은 미쁘사 너희가 감당치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가운데서 또한 피할 길을 내사 너희로 능히 견디다(고전 10:13).

사도 바울은 신자들이 하나님의 시험이라고 말하는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하나님은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시련만을 주신다는 점을 강조. 이것은 하나님의 시련에는 자신이 서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타락과는 대조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문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편으로, 사도 바울의 말은 사람들에게 위로가 됩니다. 당신이 곤경에 처했을 때, 어려움이 하나님의 시험이라 여겨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는 희망과 확신을 줍니다.. 그러나 이 말에는 그것보다 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시험만 주는 것은 이것이 사람의 한계를 알아야만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이 사람에게 감당할 수 있는 시험만 주신다는 것은 하나님이 사람의 능력과 한계를 아신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공산품의 능력과 한계를 아는 사람이 그것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것처럼 인간의 한계와 능력을 온전히 안다는 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창조주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흔히 시련이라고 부르는 어려움은 하나님의 창조목적 안에서 하나님이 경영하시는 부분이다.. 인간은 육체적인 어려움을 이겨내야 육체적인 축복을 준다는 관점에서 시련을 이해하지만 하나님은 다르게 생각하십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몸은 어쨌든 소모적입니다., 주어진 삶의 기간 동안 하나님의 뜻을 표현하는 도구와 같은 형태입니다.. 너무 늙고 약하다. 한마디로 소비.

인간의 입장에서 어떤 형태로든 몸을 소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피해야 할 일입니다.. 사이트는 사람들이 테스트로 인식하는 사이트의 본질입니다.. 그래서 당신이 인생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은 하나님의 성품을 나타내기 위해 창조된 존재로서 당연한 것입니다., 어쩌면 강박적인 소비와 욕구. 시련만 견디라는 말은.

자동차 브레이크를 생각해 보십시오.. 브레이크, 보다 구체적으로 브레이크 패드에 ​​대해 생각할 때 제조업체의 의도는 패드가 디스크에 마찰을 일으켜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라이닝은 필연적으로 마찰을 통해 갈고 가열되고 마모됩니다.. 그러나 이 어려운 어려움은 시험이 아니라 존재의 목적이다.. 마찬가지로 제조업체나 사용자는 성능 이상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하나님은 사람이 감당치 못할 시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느니라.

그렇다면 우리가 자주 이야기하는 시험은 우리 존재의 목적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나님의 창조목적에 순종하면서 하나님의 성품이 표현되는 환경에서 소비되는 육신의 삶과 그 소비에서 겪는 어려움이 원래 우리에게 주어진 삶의 일부임을 알게 됩니다., 창조의 목적을 모르고 순종하지 않는다면 육신의 삶에서 겪는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문제로만 인식될 것입니다..

이 불순종이 낳은 잘못된 인식은 잘못된 해결책으로 이어집니다.. 자신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싶은 마음을 새기면 이미지로 아이돌이 된다.. 그리고 마음에 기댈 수 있는 목표를 정하거나 만든다면 그것도 우상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하나님의 이름을 불러도 하나님의 뜻과 신분에 반하여 육신의 문제 해결에 의지하는 존재라면 그 사람은 이방신이고 우상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는 어려움은 죄 때문이 아니라 몸의 소모 때문입니다.. 더 나은 신체적 웰빙은 훨씬 덜 중요합니다.. 오히려 진짜 죄는 이 어려움을 죄로 여기거나 더 나은 육체적 행복을 위한 정제나 시험으로 여기는 것입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뜻, 하나님의 정체성, 따라서 인간 존재의 목적과 정체성에 위배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시험으로 여기는 육신의 소모와 그로 인한 어려움은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을 따르려는 우리의 존재 목적 때문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감당해야 할 존재의 목적이기 때문에 감당할 수 있는 시련만을 주신다고 하셨습니다.. 낮은 삶은 상대적으로 높은 사람의 의지를 위해 몸을 소비할 수밖에 없다.. 같은 이유로 그는 유대인의 뜻에 따라 자기 몸을 십자가에 못 박을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우리에게 육신의 생명을 주신 것입니다.. 이것이 복음이다, 십자가를 지고 예수를 따르라. 이생의 역경은 하나님의 무의미한 시련이 아니라 우리가 견뎌야 하는 존재의 목적이다.